메일을 사용하다 보면, 상대방이 대용량 파일을 전송할 때 링크 주소 형태로 첨부 파일을 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수신자가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시작되지 않고, 브라우저에서 「이 파일을 안전하게 다운로드할 수 없습니다.」라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며 다운로드가 차단되는 문제를 경험한 적이 있을 겁니다.
이 문제는 브라우저 제공 기관들이 HTTPS와 HTTP 혼합 콘텐츠(Mixed Content) 사용 정책을 변경하면서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 브라우저는 이러한 혼합 콘텐츠를 차단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혼합 콘텐츠[Mixed Content]란?
간단히 말해, HTTPS(SSL 보안이 적용된) 웹(메일) 사이트에서 HTTP(비보안) 콘텐츠를 불러오는 경우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HTTPS://도메인 주소에서 HTTP://도메인 주소를 통해 첨부파일,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스트리밍 등을 불러오는 모든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혼합 콘텐츠는 보안 문제를 초래할 수 있어 브라우저가 이를 차단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https://foxydog.tistory.com/42 「브라우저 이미지 엑박 문제」 참고
◈ 브라우저별 반응 「2025-02-14 테스트 기준」
① 마이크로소프트 엣지「Edge」
※ 다운로드를 하고 싶다면, 「· · ·」 클릭 → 「유지」 → 경고문「그대로 계속」 진행하면 됩니다.
② 구글 크롬「Chrome」
예전에는 경고 팝업창으로 「안전하지 않은 다운로드가 차단됨」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었지만, 이제는 아예 아무런 반응 없이 완전히 차단되는 방식으로 보안 조치가 강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처리되면 다운로드 기록(Ctrl +J)에도 남지 않아, 수신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웹사이트나 메일 서비스에 문제가 있다고 오해하기 쉬운 상황이 발생합니다. (우리 문제가 아닌데, 억울해서 남김...)
※ 다운로드를 하고 싶다면,「첨부파일 링크 마우스 우 클릭」 → 「시크릿 창에서 링크 열기」 → 경고문「사이트로 이동」 진행하면 됩니다. 내용에 이유가 나와 있습니다. URL 링크 주소가 HTTPS를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이기 때문입니다. 새 창에서 링크 열기도 같은 브라우저 세션이라 시도 자체가 안되게 막혀 있습니다. 그래서 시크릿 창에서 시도를 하는 부분입니다. 또는
「링크 주소 복사」 후 「새 탭에서 링크 붙여 넣기」 → 경고 메시지「계속」 하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이는 혼합 콘텐츠를 피하는 방법입니다.
③ 네이버 웨일「whale」
※ 다운로드를 하고 싶다면, 「 ↓ 」 클릭
「Edge」 「Chrome」 「whale」은 Chromium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비롯한 여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기초해 만들어진 브라우저로 단축키나 옵션이 비슷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④ 모질라 파이어폭스「Firefox」
※ 다운로드를 하고 싶다면, 「→」 클릭 → 「다운로드 허용」
⑤ Mac OS 15 「safari」
아직도 HTTPS를 사용하지 않는 업체들이 종종 보입니다. 수신자 입장에서 URL 링크가 HTTP로 되어 있다면, 이는 발송 측의 문제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Information』 >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인보드 바이오스「BIOS」 화면 스크린샷(캡처) 방법 (0) | 2024.11.27 |
---|---|
Google Chrome 원격 데스크톱에서 시프트「Shift」 먹통 현상 (0) | 2024.11.25 |
ChatGPT 가입 및 사용 후기 (0) | 2023.03.08 |
중고폰 판매 민팃(Mintit) 사용 후기 (0) | 2022.09.04 |
파워포인트(PPT) - 무료 폰트 사용하기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