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Server 2025 - ISO 파일 다운(평가판) 및 설치

    Windows Server
    윈도우즈 서버(Windows Server)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개한 서버 운영 체제의 상품 이름입니다.
    신형 윈도우 11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버용 OS이며 해당 서비스를 구입하면 대부분의 필요한 패키지는 기본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웹 운영을 하기 위한 [IIS], 도메인 네임서버 [DNS Server], 네트워크 IP 자동할당 [DHCP Server], 가상 서버[Hyper-V], 파일서버[SMB], 메일 발송[SMTP Server], 데이터 백업 WSB(Windows Server Backup)등이 있습니다.
    리눅스/유닉스처럼 필요한 패키지를 찾아서 설치하는 게 아닌 이미 OS 안에 모든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서버 관리자[역할 및 기능 추가]를 통해 바로 설치 이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보안패치(Windows update)를 통해 서버를 좀 더 안전하게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 때문에 가격이 높으며 일반 사용자가 선뜻 다가가지 못하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microsoft.com/ko-kr/windows-server
    Windows Server : [설명서]

     

    테스트 설치는 VMware에서 진행합니다.

    VMware Workstation 17.x [무료 다운로드 및 설치 참고]


    Windows Server 2025.ISO 파일 다운(평가판 180일)

    ※ 평가판이라고 해서 서비스 이용 시에는 정품이랑 다를 것 없습니다. 말 그대로 평가판(trial) 버전으로 사용하다가 마음에 들면 정품 KEY를 구입하여 평가판에 적용하면 계속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사이트 : https://www.microsoft.com/ko-kr/evalcenter/download-windows-server-2025

    이제 불편하게 양식작성할 필요 없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VMware 설정


     Windows Server 2025 설치

     

    ※ 아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없는 윈도우 화면, 저는 이때까지 여러 업체를 돌아다니면서 데스크탑 모드가 없는 윈도우 서버는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것 같네요. 사용하는 사례가 있을까요?

     


    언어 한국어 팩 설치하기

    ※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여 서버에 업로드 설치할 수도 있겠지만 번거롭게 하는 것보다 세팅(언어) 설정 부분에서 바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단, 네트워크 연결 필요

     


    ⑤ 시스템 언어(Locale) 설정

    IIS/FTP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국내 사용자 위주로 운영한다면 기본 시스템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클라이언트 환경은 서버의 시스템 언어(Locale)를 따라가는 경우가 있어, 이를 미리 설정해 두면 불필요한 혼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④은 디스플레이 언어 설정이며, 지금 설명드리는 내용은 시스템 언어 자체를 한국어로 변경하는 부분입니다. 설정 변경 후에는 시스템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⑥ 기타 설정(보안 관련)

    ⑥-① 기본 사용자(관리자) 이름 변경

    Windows Server는 기본적으로 「Administrator」라는 사용자(관리자) 계정을 생성합니다. 그러나 이 기본 이름은 보안 취약점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컴퓨터 관리」 도구를 통해 관리자만 알 수 있는 이름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작 또는 검색「compmgmt」을 입력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게스트「Guest」 같은 계정은 보안을 위해 반드시 비활성화(사용 안 함)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⑥-② 원격 데스크톱 연결 및 기본 원격 포트 변경

    사설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경우 큰 문제가 없겠지만, 외부 공인 IP를 통해 원격 접속(RDP)이 허용된 경우에는 기본 포트(RDP 3389)를 관리자만 아는 포트로 변경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온라인 환경에서는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e)이 지속적으로 시도되며, 서버도 예외는 아닙니다. 기본 사용자 이름(ID), 패스워드, 그리고 기본 포트를 대상으로 한 스캔(Port Scan)을 노리는 공격이 많기 때문에, 관리자 외의 접근은 모두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https://foxydog.tistory.com/47    [원격 데스크톱 연결]
    https://foxydog.tistory.com/48    [원격 포트 변경]

    이 내용은 Windows Server 2019 기준으로 작성하였지만, OS 버전이 바뀌어도 설정 방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관리자 ID와 기본 원격 포트 변경은 꼭 수행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⑥-③ 원격 세션 2개 이상 설정

    https://foxydog.tistory.com/57  [원격 데스크톱 세션 수 제한 설정]

     


    마치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평가판이지만 정품처럼 180일 동안 사용할 수 있어, 공부나 테스트용으로는 충분히 활용 가능합니다. 또한, 평가판 사용 중 만족스러울 경우 정품 라이선스 키를 발급받아 적용하면, 별도의 재설치 없이 그대로 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