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턴 메시지
550-5.7.1 The user or domain that you are sending to (or from) has a policy that 550-5.7.1 prohibited the mail that you sent. Please contact your domain 550-5.7.1 administrator for further details. For more information, go to 550 5.7.1 https://support.google.com/a/answer/172179
「번역」 귀하가 보내는(또는 보내는) 사용자 또는 도메인에는 귀하가 보낸 메일을 금지하는 정책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도메인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550 5.7.1 URL 주소를 확인하세요.
▣ 메시지만 봐도 수신 측이 구글의 「G Suite」 메일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URL 접근해 보니 「(신) Google Workspace」라고 표시가 되어 있던데 알고 보니 「(구) G suite」는 예전 명칭이고 지금과 같은 비즈니스 서비스 이름으로 통합을 한 것 같습니다. 하여튼 그게 중요한 게 아닌, 이것도 이미 리턴메시지에 답이 나와 있습니다. 귀하가 보낸 메일을 금지하는 정책이 있다고 메일 받는 것을 거부했네요. 정확히 메일의 어떤 부분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므로 도메인 관리자에게 문의하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 Google Workspace 관리자 고객센터 안내
▣ 번역 내용
메일 전송을 허용하지 않는 정책이 시행 중입니다.
메일이 귀하의 조직 또는 수신자 조직의 메일 정책 요구사항에 충족되지 않아 메일 수신자가 메일을 받지 못했습니다. 조직에서 불쾌감을 준다고 간주하는 단어가 메일에 포함되어 있거나 조직에서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교직원 및 다른 학생과 메일을 주고받도록 허용하지만 학교 외부의 사용자와는 메일을 주고받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이 수신자에게 메일을 보낸 적이 있다면 신용카드 번호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정보 또는 조직에서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는 단어가 메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세요. 또한 많은 조직에서 허용되는 첨부 파일의 크기와 유형을 제한하기도 합니다.
이런 리턴 메시지는 수신 측의 정책에 의한 명확한 차단 사유가 있으므로 발송 서버 관리자에게 말해도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수신 측 메일 서버 관리자에게 리턴 메일을 전달하여 차단 사유를 분석해봐야 합니다. 여기서 추측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SPF, DKIM, DMARC로 인한 차단은 아닙니다.
Gmail은 스팸 차단을 매우 엄격하게 적용하는 서비스로, 발신 도메인이 SPF나 DKIM 등의 인증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Pass authentication checks」를 만족하지 못했다는 명시적인 반송 메시지와 함께 메일을 차단합니다. 이번 경우에는 해당 인증은 모두 정상적으로 통과했기 때문에, 차단 사유는 수신 측 자체의 별도 스팸 정책이나 수신자 도메인의 보안 정책에 따른 것으로 판단됩니다.
② 이전에 정상적으로 보냈다면, 메일 본문에 의심되는 콘텐츠 확인
아마 수신 측에 문의를 해도 보안 정책상 어떤 룰에 걸렸는지 제대로 알려주지 않을 겁니다. 수신 측의 정책을 알려준다는 뜻은 우회하거나 스팸을 발송할 수 있는 여지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신 측 메일 서버 관리자에게 문의를 할 수 없다면 모든 패턴을 분석해 볼 수밖에 없습니다.
→ 스팸으로 오해할 만한 키워드 (제목/본문 포함)
송금, 신용카드 정보, 계좌 확인, 개인정보 입력, 긴급, 중요, 긴급 조치 필요등 해운/금융 관련 업체들이 많이 사용할만한 단어가 제목/본문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상하게 이런 단어들이 있으면 사람 심리 특성상 스팸인걸 의심하면서도 클릭하게 유도를 많이 하다 보니 최근 들어 저런 단어들이 들어가면 차단될 확률이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 과도한 HTML 태그 사용, URL 포함
한쪽으로 치우친 스타일 태그(표)나 URL, 이미지만 있는 경우 차단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적당히 텍스트 + HTML 혼합 구성으로 보내는 게 좋습니다. 특히 회신을 RE:(FW:)를 많이 하는 경우가 있는데 메일 본문에 너무 많은 내용이 누적되면 헤더 길이 초과로 인한 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니 적당히 끊어주는 게 좋습니다.
→ 첨부파일 크기와 유형 제한
일반 첨부가 평소보다 크거나, 유형이라 함은 「.exe (실행 파일)」 「.bat (배치 파일)」 「.js (JavaScript)」 「.reg (레지스트리)」 같은 바이러스, 악성코드, 명령어 자동 실행, 악성 스크립트등의 위험성이 있는 첨부파일을 말하며 이게 포함되어 있다면 거의 일방적으로 차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압축해도 요즘 수신 스팸 필터들은 압축해제해서 내용까지 확인을 합니다.
③ 수신자 도메인 설정
심플하게 Google 관리자가 외부 도메인 자체를 제한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모든 도메인일 수도 있고, 특정 도메인만 차단했을 수도 있습니다. 가장 빠른 확인 방법은 다른 외부 메일주소로 발송 시도를 해보면 됩니다.
발송 관리자는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니 제발 수신측 관리자에게 물어봐주세요.
'◈『Mail』 > 리턴메일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턴 메일(메시지) : 550 5.4.1 Recipient address rejected: Access denied. (MS 365) (0) | 2025.04.08 |
---|---|
리턴 메일(메시지) : Encryption too weak 128 less than 256 (0) | 2024.10.14 |
리턴 메일(메시지) : Mailbox Full (0) | 2024.10.07 |
리턴 메일(메시지) : your envelope sender domain must exist (0) | 2024.08.08 |
리턴 메일(메시지) : Not complied TLS minimum version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