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GABYTE] 지포스 RTX 5080 AERO OC SFF D7 16GB White 구입 후기

    RTX 4070 Super를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필자의 사용 환경에서는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RTX 5000번대가 출시되면서 업그레이드 욕구가 생겨버렸고, 결국 구입하지 않으면 견딜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러나 초기 물량 공급 부족과 과도한 가격 정책으로 인해 시장이 여전히 혼란스러운 상황이었습니다. 출시 초기와 현재의 가격을 비교해 보면, 말도 안 되는 웃돈이 붙어 거래되고 있었지만, 다행히 AMD Radeon RX 9070 시리즈가 출시되면서 경쟁이 붙었고, 이에 따라 가격이 조금씩이라도 안정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구입하면 호구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가격이 여전히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이때 아니면 언제 또 이렇게 고사양 그래픽 카드를 써보겠나? 하는 생각이 들어 결국 조금 무리를 해서 「RTX 5080」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모든 사진은 직접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였습니다. (※ 스압 주의)

    ■구입 제품 이름 : [GIGABYTE] 지포스 RTX 5080 AERO OC SFF D7 16GB 제이씨현

    판매가(정가/할인) 국내 : 2,459,800원(조이젠)

    ※ 싯가(시세가)도 아니고, 일주일 만에 약 10만 원이나 내려갔네요 T^T. 이래서 구입 후에는 뒤를 보면 안됩니다. 그래도 네이버페이로 구매해 적립된 포인트가 많고, 컴퓨존조차 여전히 약 240만 원대 가격을 유지하고 있으니 터무니없이 비싸게 구입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위안을 삼아야겠네요. (헛웃음)
    제조년일 구입일 : 2025.03.18 / 3년 보증 (구입 후 30일 이내 제품 등록시 1년 추가) [ 2029-03-18 ]
    공식 홈페이지 [GIGABYTE] 지포스 RTX 5080 AERO OC SFF D7 16GB

    ◈ 추가 1년 보증을 위해 먼저 홈페이지 가입 및 제품 등록을 진행

    GIGABYTE 가입사이트 : https://member.aorus.com/kr/login

     

     

    구입하자마자 제품 등록(30일 이내)하여 보증 기간 1년 추가 혜택을 꼭 챙깁시다!

    그런데 몬스터 헌터 와일즈(Monster Hunter Wilds) 게임 증정 이벤트에 참여하려고 페이지에 접속했더니, 이런... 이미 조기 마감 했습니다.

     

    이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언성이 높습니다. 분명 이벤트가 6월까지 진행된다고 했는데, 예상보다 훨씬 빨리 종료되어 애매한 시간에 구입한 구매자 대부분이 코드 발급조차 못 받은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필자는 구입일(3월 18일) 오후 10시 마감이라서, 익일 제품을 받은 필자는 시도조차 못했습니다. (그래픽 카드 하나 가격이 이렇게 높은데 구입 시 무조건 증정으로 해줘도 모자랄 판에...)

     

    기가바이트는 큰 논란 없이 이미지가 좋은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었던 것 같은데, 이건 좀 아쉽네요. 그다음 날 노트북 구매 시 몬헌 증정 이벤트를 동일하게 해서 더욱 열받네요. 선착순이었다면 행사 기간을 짧게 잡았어야 하는 게 맞지 않나...? 뭐 이제 와서 이야기해도 홈페이지에 사과 공지 하나 올리고 끝나겠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씁쓸하네요. 점점 기업들이 소비자 기만하는 사건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 언박싱「Unboxing」

     

    「GIGABYTE 지포스 RTX 5080 AERO OC SFF D7 16GB 제이씨현」을 조이젠에서 구매하고 하루 만에 바로 배송을 받았습니다. 그래픽 카드 박스 외부에 봉인 라벨이 있었는지 기억이 안 나는데, 내부에는 노란색 라벨로 봉인되어 있네요. 요즘 가격이 높은 제품은 조이젠/컴퓨존 같은 믿을 만한 도매 업체가 아니면 일반 개인 소매업에서 사기가 좀 꺼려지네요. 

     

    하여튼 택배 물건을 무사히 받고 손에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고서야 안심과 기쁨이 동시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스몰 폼 팩터(Small form factor, SFF) 버전을 구입하긴 했지만 생각했던 것보다 더 작다고 느껴집니다. 사이즈는 「304mm (가로) * 126mm (높이) * 50mm (두께)」 SFF 케이스를 선호하는 사용자라면 해당 제품을 많이 찾을 것 같습니다. (작다고 해서 발열을 못 잡는 것도 아니고 성능 그대로 나옵니다.)

     

    팬 모양이 조금 특이한데, 기가바이트만의 HAWK 팬 특징으로 독수리 날개의 공기역학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된 독특한 날개 디자인으로 공기 저항과 소음을 줄이면서, 공기 압력을 최대 53.6% 증가시키고 공기 흐름을 12.5% 향상한다고 합니다. 인접한 팬의 난류를 줄여 공기 흐름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얼터네이트 스피닝(ALTERNATE SPINNING)제로팬 기능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으며 그래핀 나노 윤활유를 통해 베어링 팬의 수명을 2.1배 연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디자인 색상은 화이트 + 부분 은색(백플레이트) → 같은 제조사 메인보드라면 어디에든 잘 어울리는 무난한 조합입니다. 깔끔하고 과하지 않은 심플한 디자인이라 호불호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전원부 옆에 보면 듀얼 BIOS 설정으로

    기본 설정 :  ← 성능(PERFORMANCE) 모드로 최고의 쿨링 성능을 제공

    우측으로 설정 : → 저소음 모드(SILENT)로 전환하면 더욱 조용한 환경을 제공

    필자의 경우는 케이스가 크고 팬이 많아서 그래픽카드 소음은 상대적으로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조용하다고 느껴집니다.

     

    메인보드 EZ 체크처럼 그래픽카드에도 전원 상태를 알리는 전원 표시기(POWER INDICATOR) 기능이 있습니다. 전원 공급 장치 이상 발생 시 표시등(하얀색 LED)이 깜빡이며 알려주어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만 표시되고 이후 OFF 되면 정상입니다. 단점 : 그래픽카드를 세워서 장착하는 라이저 킷 사용자라면 확인이 어렵네요.

     

    다른 일반 그래픽과 또 다른 점은 PCB 위로 완전히 드러난 확장된 히트싱크 설계 스크린 쿨링(SCREEN COOLING) 방식으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쿨링 성능을 향상했습니다. 확실히 미리 체험해 본 봐로 고사양 게임 최고 옵션을 해도 몇 시간 동안 60도를 거의 넘기지를 않았습니다.

     

     

    모니터를 연결해 주는 「DP 2.1 x 3개」 「HDMI 2.1 x 1개」 총 4개의 단자가 있습니다. DP(DisplayPort) 1.4 까지만 해도 8K까지 충분히 지원을 했지만 대역폭과 데이터 속도가 3배 정도 더욱 늘어난 DP 2.1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가 DP 1.4이지만 하위호환에 전혀 문제 되지는 않습니다. 끝의 3개의 구멍은 VGA 지지대 설치 용도로 보입니다.


    ◈ 사이즈 비교

     

    Gigabyte RTX 5080 AERO OC SFF 304mm * 126mm * 50mm (가로/높이/두께)
    Colorful RTX 4070 SUPER 313.5mm * 118.8mm * 50.5mm (가로/높이/두께)
    MSI RTX 3070 TRIO 323mm * 140mm * 56mm (가로/높이/두께)

     

    업그레이드 순서대로 성능은 대폭 좋아지면서 두께/크기는 작아지는 필자가 원하는 최종 형태입니다. 그런데 하필 또 전원부 단자가 반대로 되어 있어서 케이블을 다시 돌려서 장착해야 하는 귀찮니즘이...


    ◈ 그래픽 카드 교체

     

    「Y70」 케이스와 잘 어울리고 있습니다. 리안리 스트리머는 처음에 연장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했으나 모양 빠져서 LED부분만 분리를 해서 RGB 연동하였습니다. 이것도 벌써 1년이 넘어서 보증기간이 끝났습니다. 고장 나면 다음에는 무선버전으로 구입해 봐야겠네요.

     

    역시나 같은 엔디비아 제품이라도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지우고, 시스템 끄기(새 그래픽카드를 장착할 경우)」를 진행하여 새 그래픽카드를 설치하였습니다.

     

     

    ◈ 완성도 WEBP


    ◈ 성능 테스트「3DMark / 게임」

    ◇ 환경 「그래픽 카드가 영향 받을만한 부품」
    메인보드 [GIGABYTE] B650M AORUS ELITE AX ICE 제이씨현 (AMD B650/M-ATX)
    CPU [AMD] 라이젠7 그래니트 9800X3D (8코어/16스레드/4.7GHz)
    메모리 [ESSENCORE] KLEVV DDR5 PC5-48000 CL30 CRAS V RGB WHITE 서린
    [48GB (24GB x2)] (6000)
    모니터 삼성 오디세이 G7 240Hz (QHD 2560×1440)

     

    그래픽 카드 비교 지포스 RTX 4070 SUPER (Colrful ULTRA) 지포스 RTX 5080 (Gigabyte AERO SFF)
    베이스(부스트)클럭 1980MHz (터보: 2565MHz) Reference: 2617MHz (2730MHz)
    쿠다프로세서 (ROPs) 7168개 (80개) 10752개 (112개)
    메모리 GDDR6X / 192-bit / 21000MHz / 12GB GDDR7 / 256-bit / 30000MHz / 16GB
    소비전력 (권장파워) (650W 이상) (850W 이상)
    인터페이스 PCIe4.0x16 PCIe5.0x16

     

    → 커스텀 옵션 없이 디폴트로 성능 체크
    → 보기 힘드시면, 맨 마지막 결과값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① Fire Strike 「DirectX11」

    테스트 방식-Fire Strike 「DirectX11」 전체 스코어 Graphics score
    RTX 4070S(QHD) 40,387 47,158
    RTX 5080(QHD) 52,871 76,852

     

     

    ② Time spy 「DirectX12」

    테스트 방식-Time spy 「DirectX12」 전체 스코어 Graphics score
    RTX 4070S(QHD) 18,790 20,112
    RTX 5080(QHD) 25,823 30,661

     

     

    ③ Steel Nomad (Light)

    테스트 방식-Steel Nomad(light) DX12 전체 스코어 Graphics test
    RTX 4070S(QHD) 20,731 153,57 FPS
    RTX 5080(QHD) 33,113 245,29 FPS

     

     

    ④ Steel nomad (High-End)

    테스트 방식-Steel Nomad(High-End) DX12 전체 스코어 Graphics test
    RTX 4070S(QHD) 4,488 44,89 FPS
    RTX 5080(QHD) 7,414 74,14 FPS

     

     

    ⑤ Speed Way

    테스트 방식-Speed Way DX12 전체 스코어 Graphics test
    RTX 4070S(QHD) 5,034 50,35 FPS
    RTX 5080(QHD) 8,193 81,93 FPS

     

     

    ⑥ 포르자 호라이즌 5(Benchmark)

    테스트 방식-최고 옵션 GPU 평균 FPS GPU 최소 FPS GPU 최대 FPS
    RTX 4070S(QHD)

    ※ 이거는 테스트를 잘 못 했을 것 같습니다. 급이 낮은 것도 아닌데 상대적으로 너무 낮게 나왔네요.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81.4 75 112.3
    RTX 5080(QHD) 183.3 156.8 221

     

     

    ⑥ 사이버 펑크 2077(Benchmark)

    테스트 방식-최고 옵션(일반/DLSS) 평균 FPS 최소 FPS 최대 FPS
    RTX 4070S(QHD) 84.23 69.10 104.52
    RTX 4070S(QHD) + DLSS 127.5 116.07 139.91
    RTX 5080(QHD) 129.47 105.64 162.83
    RTX 5080(QHD) + DLSS (4배) 235.35 207.93 261.36

     

     

    ⑥ 몬스터 헌터 와일즈(Benchmark)

    테스트 방식-최고 옵션(일반/DLSS) SCORE 평균 FPS 환경
    RTX 4070S(QHD) 27,872 82.70 매우 쾌적
    RTX 4070S(QHD) + DLSS 19,208 113.32 쾌적
    RTX 5080(QHD) 37,337 110.25 매우 쾌적
    RTX 5080(QHD) + DLSS (4배) 28,681 168.59 매우 쾌적

     


    마치며...

    다른 사용자들의 벤치마크 결과와 비교하면 수치가 낮게 나온 것 같긴 한데, 사실 필자는 최고 성능을 뽑아내기 위해 무리하게 오버클럭을 하거나 커스텀을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기본 설정으로 사용하고 있고, 벤치마크 수치는 조금 낮을지 몰라도 실제 게임 성능은 등급에 맞게 잘 나오고 있어서 딱히 문제 될 건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온도가 SFF 제품임에도 온도가 꽤 잘 잡히는 느낌이라 어떤 게임을 하더라도 60도를 크게 넘기지 않는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확실히 AAA급 최신 게임에서는 DLSS를 적용하면 프레임이 거의 두 배 가까이 상승하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주로 하는 게임은 캐주얼한 온라인 게임이나 리듬 게임 위주라 이렇게 까지 높은 성능이 자주 필요하진 않습니다. 그래도 가끔 파이널 판타지나 바이오하자드 같은 고사양 시리즈 게임을 할 때 옵션 타협 없이 최상의 환경에서 즐길 수 있다는 점은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게임뿐만 아니라 그냥 유튜브 같은 영상 하나를 보더라도 기분이 좋아집니다.

    Designed by JB FACTORY